Dive2025 한걸음 지도

부산광역시X카카오모빌리티 발제

길안내 API,내비 SDK를 활용해 부산광역시에 필요한 길안내 서비스 구현

발제사 자료


한걸음 지도 서비스 기획안

1. 문제 정의: 왜 ‘한걸음 지도’가 부산에 필요한가?

  • 지형적 문제: 타 도시에 비해 월등히 많은 언덕, 계단, 그리고 좁은 골목길은 지도 상의 최단 거리와 실제 체감 난이도의 괴리가 큽니다.
  • 인구적 특성: 고령 인구 비율이 높아, 작은 경사나 장애물도 큰 이동 장벽으로 작용합니다. 유모차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 약자 또한 어려움을 겪습니다.
  • 기존 지도의 한계: 현재의 내비게이션은 ‘가장 빠른 길’을 알려줄 뿐, ‘가장 안전하고 편안한 길’을 제시하지 못합니다. 또한, 도로 공사, 갑작스러운 장애물, 결빙 등 실시간으로 변하는 위험 요소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지 못합니다. -> 최종 위험 지형은 육교, 계단, 급경사로 설정

이러한 부산의 지형적, 인구적 특성을 정면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. 우리는 모든 시민이 예측 가능한 위험을 피하고, 예기치 못한 위험은 함께 해결하며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새로운 보행 문화를 제안합니다.

2. 해결 방안: 살아있는 지도

시민들의 집단지성을 통해 스스로 성장하고 진화하는 ‘동적 안전 내비게이션(Dynamic Safety Navigation)’입니다.

단순히 길을 찾는 앱을 넘어,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도시의 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고, 이를 통해 모두에게 더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합니다.

핵심 전략:

  1. 사전 정보 기반의 ‘위험 예측’: 공공 데이터와 누적된 제보를 통해 경로 탐색 시점부터 잠재적 위험 요소를 미리 알려줍니다.
  2. 사용자 참여 기반의 ‘실시간 위험 대응’: 현장에서 발견된 새로운 위험을 즉시 제보받아, 즉각적인 우회 경로를 제공하고 데이터를 축적하여 지도를 살아있게 만듭니다.

3. 주요 기능

① 안심 경로 탐색

  • 목적지 검색 시, ‘최단 경로’와 함께 ‘안심 경로’ 옵션을 제공합니다.
  • ‘안심 경로’는 누적된 위험 제보 데이터(계단, 급경사, 공사 구간 등)를 바탕으로 위험 요소를 최대한 회피하는 경로를 우선적으로 제안합니다.

② 실시간 위험 경고 (In-App Preview)

  • 길안내 시작 전, 앱 내 지도에 전체 경로를 미리 보여주며, 경로 상에 존재하는 위험 구간을 아이콘과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합니다.
  • 이동 중 위험 구간 접근 시, “30m 앞 가파른 계단 구간입니다”와 같은 TTS 음성 경고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③ 원터치 위험 제보

  • 지도에 표시되지 않은 위험(공사, 장애물, 결빙, 어두운 골목 등) 발견 시, 지도를 길게 누르는 것만으로 손쉽게 제보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제보된 정보는 즉시 서버에 저장되며, 제보자에게는 즉각적인 우회 경로를 제공합니다.

④ 집단지성 데이터베이스

  • 모든 사용자 제보는 단순 휘발성 정보가 아닌, 소중한 데이터로 축적됩니다.
  • 동일 위치에 다수의 제보가 쌓이면 해당 정보의 신뢰도가 상승합니다.
  • 제보 종류에 따라 데이터 유효기간(TTL)을 설정하여 최신성을 유지합니다. (예: ‘공사’ 정보는 장기간, ‘결빙’ 정보는 단기간)
  • 축적된 데이터는 다른 사용자의 ‘안심 경로’ 탐색 시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됩니다.

4. 서비스 흐름도

  1. 경로 탐색: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, ‘부산 안심길’은 카카오 길찾기 API와 자체 ‘안심 DB’를 함께 조회합니다.
  2. 정보 제공: 앱 내 지도에 최적 경로와 함께 DB에 기록된 위험 구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, TTS로 경고합니다.
  3. 위험 발견 및 제보: 사용자가 새로운 위험을 발견하고 ‘원터치’로 제보합니다.
  4. 데이터 저장 및 재탐색: 제보 정보는 ‘안심 DB’에 즉시 저장되고, 사용자에게는 해당 지점을 경유지로 설정한 우회 경로가 제공됩니다.
  5. 길안내 시작: 사용자가 최종 경로를 확인하고 ‘안내 시작’을 누르면, App-to-App 방식으로 카카오내비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여 안정적인 길안내를 시작합니다.
  6. 데이터 선순환: 이후 다른 사용자가 동일 지역을 탐색할 때, 업데이트된 ‘안심 DB’ 덕분에 더욱 안전한 경로를 처음부터 안내받게 됩니다.

5. 기대 효과

  • 시민: 교통 약자를 포함한 모든 보행자의 이동 안전성 대폭 향상 및 사고율 감소.
  • 도시: 시민 참여를 통해 저비용으로 도시의 보행 안전 데이터를 구축.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단에 경사로를 설치하는 등 장기적인 도시 환경 개선 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.
  • 플랫폼: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를 통해, 부산시민을 위한 필수 안전 앱으로 성장.

6. 개발 명세 (Technical Specification)

  • 프레임워크: React Native (Expo)
  • 핵심 API:
    • 카카오 길찾기 API (도보) -> 최단,최소시간 경로를 제공 받을 수 있음

    • 다중 경유지 길찾기, 다중 출발지 길찾기, 다중 목적지 길찾기

  • 주요 라이브러리:
    • react-native-maps (지도 시각화)
    • expo-location (사용자 위치)
    • axios (API 통신)
  • 데이터베이스: Firebase Firestore (사용자 제보 실시간 저장 및 조회) cloud funtions사용
  • 활용 데이터:
    • 육교, 계단, 급경사 데이터
    • 부산시 인구 데이터
    • 지형 데이터

Categories:

Updated:

Leave a comment